로고

LH E&S
로그인
  • 안전보건
  • 안전보건 경영체계
  • 안전보건

    안전보건 경영체계

    환경분석
    외부환경
    ⦁ (기회) 공공기관 자회사로서 역량 확대 잠재력
    ⦁ (위협) 규모 대비 규제 비대화
    내부역량
    ⦁ (강점) ESG·안전청렴윤리체계 확립 및 제도화
    ⦁ (약점) 업무프로세스 및 경영관리의 체계화
    방향성
    혁신을 통한 지속가능 안전보건경영
    안전관리 고도화를 위한 역량 강화
    선제적이고 효율적 안전보건체계 구축
    ESG 및 사회공헌 실천을 통한 공공성 실현
    CEO
    의지
    안전보건을 모든 경영활동의 최우선 핵심가치로 두며,
    모든 위험으로부터 직원과 고객을 지켜 공공안전에 이바지
    목표

    ①산업재해 10건 미만 발생

    ②직업성질환 산업재해 ZERO 달성

    ③종사자 의견청취 120건 접수

    ④비상대응교육 70% 이수

    추진방향
    선제적 안전보건체계 확립
    구성원 건강관리
    사각지대 적극 해소
    적극적인 근로자 의견 청취
    비상 대응능력 강화로 공공안전 이바지
    추진과제
    위험성평가를 통한 유해 · 위험요인 사전제거
    • 정기 위험성평가 주기 단축/확대(연 2회)
    • 중대위험성에 대한 개선 조치 확인
    자율 안전보건
    관리 체계 강화
    •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현장 역활 증대
    • 현장 TBM 활성화
    보건 취약 대상에 대한 적극적 보건관리
    • 건강진단 사후조치 대상 확대
    • 본사-지사 협업을 통한 촘촘한 보건관리체계 구축
    요인별 맟춤형
    보건관리
    • 근골격계질환 유해요인 조사 절차 개선
    • 전 조리실 작업환경측정
    위험성평가 근로자 참여 활성화
    • 위험성평가 전 과정
      근로자 참여
    • 근로자 참여 합동점검
    제안제도 활성화
    • 제안제도 홍보 및
      활성화
    • 사내 안전보건협의체 운영
    응급처치 역량 강화
    • 응급처치 강사 양성
    • 사업소 자체 심폐소생술
      교육 시행
    비상대응 능력강화
    • 화재 등 각종 비상상황 대응 훈련 실시
    • 밀폐공간 질식재해 예방 훈련 실시
    성과지표
    • 중대위험성 등 개선율
    • TBM 운영률
    • 지사장 TBM 참석 및 자체교육 시행율
    • 건강상담 근로자 참여율
    • 근골격계질환 부담작업 증상조사표 제출율
    • 직업성질환 산업재해 발 생율
    • 위험성평가 근로자 참여율
    • 아차사고 접수 및 개선 건수
    • 수용안에 대한 개선율
    • 훈련결과 평가 및 개선율
    • 응급처치 강사 양성율
    • 근로자 응급처치 자체교육 이수율
    중장기
    로드맵
    선제적 안전보건체계 확립
    ⦁ 단 · 중기(2025~2027) 체계적 안전보건관리기조 강화
    ⦁ 단 · 장기(2025~2030) 현장 친화적 안전예방활동 강화
    구성원 건강관리
    사각지대 적극 해소
    ⦁ 단기(2025~2026) 사전예방적 건강관리체계 고도화
    ⦁ 중기(2027~2028) 사후대응적 건강관리시스템 체계화